쉽게 알아보는 세금우대 저축
쉽게 알아보는 세금우대 저축
목돈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은 예금, 적금을 이용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수입이라 국가에서는 이자에 대한 소득을 가져갑니다. 오늘은 그 세금을 합법적으로 줄일 수 있는 세금우대 저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끝까지 보시면 세금우대 저축에 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적금 세금이란?
예금이나 적금이 만기 되어 이자를 받게 되었을 때 이자소득세 14% + 농어촌 특별세 1.4% 총 15.4%의 세금을 국가에 내야 합니다.
세금우대란?
세금우대란 예적금 세금을 이자소득세(14%)는 비과세하고 농어촌특별세 1.4%만 낼 수 있는 상품을 말합니다.
세금우대가 되는곳?
세금우대는 상호금융권에서 가능합니다. 상호금융에서 출자금 통장 만들고 협동조합의 회원이 되면 세금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자금 통장의 돈은 배당금이 꾸준히 나오고 나중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또 조합원은 본인 주소지 "구" 안에서만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상호금융권이란?
상호금융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2 금융권이라고 말하는 신협, 지역농협, 축협, 수협, 새마을금고가 있습니다.
세금우대의 한도
세금우대가 무한대로 되는 것은 아니고 한도가 있습니다. 3천만 원입니다. 이 한도는 상호금융 모두에 적용되기 때문에 중복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신협에 세금우대를 3천만원 받았다면 새마을금고에서는 세금우대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이자 비교
3천만 원을 1년 5% 예금에 넣는다고 하고 계산해 보록 하겠습니다.
일반 예금 | 세금우대 | 비과세 |
31,269,000 | 31,477,500 (+20만원) | 31,500,000(+23만원) |
일반 예금에 비해 세금우대는 20만 원을 더 받을 수 있고, 비과세 저축은 무려 23만 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아보셔야 합니다.
▶비과세 예금 쉽게 알아보기◀( 클릭하여 알아보기)
오늘은 세금우대 저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