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동평균선 (5일, 20일, 60일, 120일) 의 이해와 활용

피스-코스모스 2023. 6. 23. 20:20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 (5일, 20일, 60일, 120일) 의 이해와 활용

 

이동 평균선이란 무엇일까?

 

이동평균선은 주식에서 기술적 매수, 매입을 할때 이용한다. 주가의 변동성이 심할때, 주가의 추세변화를 선으로 보기 쉽게 표시한것을 말한다.

 

이평선은 그 자체로 저항, 지지의 역활을 하며 추세를 보여준다. 

 

5일 20일은 단기 이평선(이동평균선), 60일은 중기 이평선, 120일은 장기 이평선이라고 한다.

 

단기 이평선은 단기적인 시세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중기, 장기 이평선은 장기적인 추세의 변화를 읽는데 사용한다.

 

단기 이평선은 매수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20일 단기 이평선이 높아진다면 매수세가 커지고 있는 것이고, 20일 단기 이평선보다 주가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면, 대부분의 투자자가 이익을 얻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20일 단기 이평선 보다 주가가 낮게 형성 되어 있다면 대부분의 투자자가 손실을 보고 있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의 활용

 

상승추세의 이평선 활용

상승장
상승추세-이평선

 

첫번째 단기 이평선이 중기이평선, 장기이평선을 뚫고 상승한다면, 매입하라는 신호이다. 

단기, 중기, 장기 이평선이 같이 상승세라면 강세국면이라는 뜻이다. 

중기, 장기가 오르고, 단기 이평선이 꺾이는 추세라면 청장권이라는 의미

 

하락추세의 이평선 활용

하락-이평선1
하락-이평선1
하락-이평선2
하락-이평선2

 

단기 이평선이 중기 장기 이평선을 뚫고 내려온다면 매도신호

단기, 중기, 장기 이평선이 같이 내려온다면 강력한 약세신호

단기 이평선은 상승하기 시작하고, 중기, 장기 이평선은 수평이라면 바닥권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뚤고 위로 올라간다면 강세전환(golden cross)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뚫고 내려온다면 약세전환(dead cross)

 

정 리

이동평균선은 주식에서 추세변화, 지지선, 시세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상승장에서는 어디가 꼭지 인지, 앞으로 추세를 예측하고 매수전략을 미리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락장에서 단기이평선의 변화로 약세전환이 되거나, 바닥권이라면 매수를 생각해볼수 있다. 

이런 기술적인 매수전략은 기업의 재무제표, 비전, 사업동향등 다양한 정보들과 더불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한뒤, 매수와 매입을 하는 시점을 아라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