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기초 지식 ② 환율의 변동 요인
지난 시간에는 환율에 대해 기초를 알아보았습니다 환율은 상대국 통화와 교환 비율이라고 하였고 원/단러 환율이 1200원에서 1000원으로 떨어졌을때 환율이 떨어졌고, 달러가치가 떨어졌고, 원화가치는 상승했다고 했습니다. 오늘은 환율의 변동요인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환율의 변동요인
국제수지
무역수지라고도 합니다. 즉 수출금액이 수입금액보다 컸을때 우리나라에 달러가 공급이 되고 환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1997년부터 지속적인 무역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습니다. 왜 환율하락이 안된것일까요? 바로 우리나라 기업이 더 많은 돈을 해외에 투자했기 때문입니다.
한편 저축이 투자 보다 많아지게 되면 경상수지가 흑자가 됩니다. 즉 달러가 많아지면서 원화가치가 상승하고 환율이 하락하게 됩니다. 원화가치의 상승은 수입가격을 떨어뜨려 물가상승을 안정하게 하고 물가가 안정되면 금리도 떨어집니다
물가
미국은 물가가 올라가고 우리나라는 그대로 있을때, 미국에서 우리나라 상품은 경쟁력이 있어지며 수출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달러가 많아지고 환율은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금리
한국의 금리가 미국보다 높을때, 달러는 우리나라에 투자하러 들어오고, 환율은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상승합니다.
반대로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높을때 달러는 미국으로 가고, 우리나라의 달러가 없어져 달러가치가 올라가 환율이 올라가고, 원화가치는 떨어집니다.
심리적요인
- 기대심리: 국제금융이 불안해지면 달러가치가 오르고 원화가치는 떨어집니다. (달러는 안전자산으로 생각합니다.)
- 특정뉴스: 전쟁, 또는 정치변화는 심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책요인
- 통화정책: 미국이 코로나로 금리를 인하하고 돈을 풀었을때 달러가치가 하락합니다.
- 재정정책: 미국이 복지정책으로 돈을 풀었을때 달러가치가 하락합니다.
달러가치의 변동을 보는법
블룸버그를 통해 달러지수를 알 수 있습니다.
https://kr.investing.com/currencies/us-dollar-index
정 리
달러환율을 주로 미국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미국의 달러가 귀해지면 상대적으로 원화가 저렴해지는 것이지요.
이것이 우리가 미국의 경제상황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또다른 이유가 됩니다.
또한 달러는 안전자산으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기에 국제적인 경제위기시에는 달러를 서로 가지고 있으려고 합니다
따라서 달러가치는 올라가게 됩니다. 예를 들면 2008년 금융위기때 우리나라 달러 환율은 1500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오늘은 환율의 변동요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부탁드립니다.
2022.10.04 - [경제] - 환율 기초 지식 ① 환율이란?
2022.10.05 - [경제] - 환율 조회하고 환전 싸게 하는 방법
2022.09.29 - [경제] - 돈이 돈을 불러오는 적금!
2022.09.21 - [상식] - 후회 없는 빔 프로젝트 고르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