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면 손해 보는 비과세 종합저축
예금이나 적금을 하게 되면, 15.4%의 세금을 국가에 내야 합니다. 얼마 안 되는 금액 같지만, 막상 받아보면 금액이 꽤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비과세로 적금이나 예금으로 목돈을 만들 수 있을까요? 오늘은 비과세 종합저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과세 종합저축 이란?
예적금이 만기 돼서 탈 때 내는 세금 15.4%를 특정 대상의 사람들은 그 세금을 면제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그 한도는 5000만 원이고, 예적금뿐만 아니라 주식의 배당소득까지 비과세 가능합니다.
비과세 종합저축 목적
국가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계층의 자금의 운용이나 재산형성에 비과세함으로써 국가에서 도와주는 것을 말합니다.
비과세 종합저축 대상
- 65세 이상인 거주자
- 장애인
- 독립유공자
- 기초수급자
- 고엽제후유증환자
- 5.18 민주화 운동 유공자
비과세 종합저축 과세 한도
1인 저축원금 5000만 원입니다. 여러 은행을 다해서 총 50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따라서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여러 은행에 계좌를 비과세 적용할 수 있으며, 저축 가입 시 비과세 종합저축이 적용되는지 물어봐야 합니다.
단순 이자계산
1년 정기예금 5%에 5000만 원을 넣었다고 생각하고 상황에 따른 이자를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이자 | 비과세 | |
세전이자 | 250만원 | 250만원 |
세후이자 | 211만원 | 250만원 |
무려 39만 원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상자라면 무조건 적용해야 합니다.
가입 가능 상품
모든 정기예금, 정기적금, 보통예금 등 모든 예금상품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신규로 비과세로 가입해야 하며, 가입 전에 은행원과 상담을 통해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
65세 이상분이시거나 위에 말 한자 격이 있으신 분들은 꼭 챙겨서 비과세로 가입해보시길 바랍니다.
어려운 것도 아니고 입증 서류를 은행에 제출하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에 해당안되신다면 실망하지 마세요.
세금우대 혜택이 있는 예금 적금도 있습니다. 세금우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아보셔야 합니다.
세금우대 저축 쉽게 알아보기 (클릭하여 이동하기)
오늘은 비과세 종합저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납이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11.11 |
---|---|
쉽게 알아보는 세금우대 저축 (0) | 2022.11.06 |
엔화 싸게 환전하는법 총정리(feat.엔화 전망) (0) | 2022.10.15 |
환율 기초 지식③ 환율이 미치는 영향 과 적정 환율 (1) | 2022.10.06 |
환율 조회하고 환전 싸게 하는 방법 (0) | 2022.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