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의사는 높은 연봉과 직업만족도로 인기가 많은 직업입니다. 재직자가 평가한 한의사 만족도는 5.3점으로 직업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이 한의사가 되고 싶어 합니다. 오늘은 한의사 되는 다양한 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고 본인에게 맞는 선택을 알아보겠습니다.
왜 한의사가 돼야 하나?
한의사는 전통의학인 한의학을 기초로 하여 한약과 침등으로 환자를 치료합니다. 한의사는 연봉, 취업, 개업등에 많은 장점이 있는 직업으로 한의사 직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한의사 쉽게 알아보기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한의사 되는 방법들
요즘은 평생직장이 없습니다. 내가 생각했던 직장생활과 다르기도 하고, 못이루웠던 꿈을 이루기 위해 이직을 하기도 합니다.
직장인의 10명 중 6명 (60%)는 수능을 다시 보고 직업을 바꾸고 싶어 합니다. 한의사가 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1. 수능
수능은 국어, 영어, 수학, 탐구, 한국사 과목을 공부해야 합니다.
대학에 따라 탐구 여러 과목 중 한 과목만 보는 경우도 있고, 수학(가)에 가산점을 주는 대학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각 대학에 대한 정보는 알아보셔야 합니다. 평균적으로 영어, 한국사가 1등급이 나온다면, 국어, 수학, 탐구에서 9개 정도 틀린다면 합격가능합니다.
- 장점: 수능에 자신이 있으신 분, 또는 실전에 강한 분은 추천드립니다. 수학을 잘하면 유리합니다.
- 단점: 수능에 기본이 없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2. 학사편입
학사편입은 특채와 비슷한 과정으로 각 학교마다 과목이 다릅니다.
공인영어, 한자, 한의학, 생물, 화학 중에 학교가 선택한 과목을 보게 됩니다. 각학교마다 편입에서 보는 시험과목과 인원이 다르니 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동신대의 경우 2023년 학사편입은 한 명으로, 과목은 토익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 한의학개론, 생물 3과목을 시험 보게 됩니다. 경쟁률은 1:40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 장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가능, 기본이 없더라도 단기간 암기에 유리, 합격 시 3학년으로 입학합니다.
- 단점: 한의학개론 때문에 학원을 다녀야 합니다. 하지만 편입학원이 수백만 원에 이를 정도로 고가입니다. 경쟁률이 높습니다.
3. 대학원(한의전)
한의사를 양성하는 한의전문대학원은 부산대학교에 한 개 존재합니다. 과목은 meet(의학편입시험), 학부성적, 텝스, 면접시험을 보게 됩니다. 4년 동안 공부를 하고 졸업하게 됩니다.
- 장점: 4년만 지나면 한의사 면허를 취득할 자격을 가집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합격가능합니다.
- 단점: 학벌이 좋으면 유리합니다.
한의사가 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 후에 입학에 유리한 학교를 선정하고, 계획을 잡고 꾸준히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공부기간은 사람마다 천차만별로 초시에 합격하기도 하지만 보통 2년에서 3년 정도를 잡고 공부를 합니다.
한의사로 이직하는 것이 유리한가?
경제적 목적으로만 한의사로 이직하는가가 유리한가에 대해 의견이 많습니다. 경제학적으로 기회비용이라는 측면에서 결과를 찾을 수 있습니다.
가정) ①나이 30대, 연봉 5천, 60세 퇴직, ②나이 40대, 연봉 5천, 60세 퇴직
① 30년 동안 일을 하면 15억을 벌게 됩니다. 한의사를 2년 준비하고, 한의대를 6년 다닌다고 했을 때 8년이 허비되며 이때 기회비용은 4억 원입니다. 또 6년간 학비 1억 정도 잡습니다.
한의사를 40세 때 되고, 60세까지 일을 한다고 했을 때 연봉 1억을 잡으면, 20억을 볼게 됩니다.
따라서 30대 직장인이라면 직장에 있었다면 15억을 법니다. 한의사 준비 시 기회비용은 5억이지만, 20억을 벌게 되므로 비슷하거나 이득입니다.
② 20년 일을 하게 되면 10억을 벌게 됩니다. 한의사준비기간 2년이라고 했을 때 학비와 더한 기회비용은 5억 원입니다.
한의사가 50대쯤 되고, 60세 까지 일하게 되면 10억을 벌게 됩니다. 40대 직장인이라면 직장생활을 했을 때 10억을 벌지만, 한의사가 되면 기회비용을 제하고 5억을 손해 보게 됩니다.
나이 | 직장다녔을때 수익 | 학의사 준비시 기회비용 | 한의사수익 |
30대 | 15억 | 5억 | 20억 |
40대 | 10억 | 5억 | 10억 |
결론: 30대까지는 한의사 편입을 준비했을 때, 경제적인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40대 이상부터는 한의사 편입 시에 경제적으로 이득은 줄어듭니다. 하지만 한의사는 정년퇴직이 없기 때문에 70세 까지 일하신다면 오히려 경제적으로는 이득입니다.
직업이 경제적 이유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의사라는 직업을 통해 본인이 행복을 느끼고, 보람을 느낀다면 나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한의학과에는 40대, 50대도 많다고 합니다.
정리
오늘은 한의사가 되는 다양한 방법과 경제적 이득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인생을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희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희망을 가지고 도전하시는 분들을 응원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부탁드립니다.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구조사 연봉, 취업, 전망, 문제점과 대책 (0) | 2023.01.25 |
---|---|
총정리 애널리스트 하는일, 연봉, 전망, 리포트추천 등 (0) | 2023.01.21 |
꿈의 직장 국회의원 되는법, 나이, 임기등 (0) | 2023.01.18 |
국회의원 하는일, 연봉, 혜택등 총정리 (0) | 2023.01.17 |
한의사 직업의 모든것(연봉,초음파,전망,장점등)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