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2

호모데우스를 생각하다. 유발 하라리는 에서 어떻게 인류가 지구의 주인공이 되었는지 서술했다. 인류는 협력이 가능했기에 다른 종을 물리치고 지구의 주인이 될 수 있었다고 했다. 호모 데우스는 그 후속이다. 여기서 데우스는 신이라는 뜻이다. 이 책에서 인본주의가 그 핵심이다. 이집트의 파라오, 중세 신을 지나 근대를 지배한 것은 인본주의였다. 인간은 과학과 이성을 힘으로 신을 포기하고 스스로 창조자가 되는 인본주의를 믿기 시작했다. 그 결과로 인본주의가 자유주의, 사회주의, 진화론으로 나뉘게 되고 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통해 자유주의만 남게 된다 하지만 유전공학 인공지능의 기술발달로 인본주의는 위기를 맞게 된다. 알고리즘의 발달로 대부분의 직업은 사라질 것이며, 인생의 대부분 중요한 결정은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될 것이고, 일하지 .. 2022. 9. 30.
싯다르타 줄거리 요약 유복한 바라문(우리나라의 양반쯤) 가정에서 태어난 싯다르타는 모든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관심을 받는 인물이다. 하지만 자기 스스로에 대한 불만과 불행이 내면에 있었다. 싯다르타는 깨달았다. 모든 것을 비우자고, 슬픔, 기쁨, 갈증, 소망 모든 것에서 해방되어 자기를 비우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자아를 벗어나 제삼자의 시선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것, 마음의 펴 정심, 높은 경지의 사색을 그의 목표로 삼았다. 사문 생활(출가수행자)을 시작하였다. 명상을 통하여 고통과 굶주림, 갈증, 피로를 극복하는 법을 배우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제 다리로 돌아와 갈망을 느끼게 된다. 회의를 느끼고 있던 중 부처를 만나기 위해 사문 생활을 청산하고 부처를 만나러 가게 된다. 부처를 만나게 되고, 그가 완성.. 2022.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