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서양의 해양역사

by 피스-코스모스 2022. 9. 15.

 

 

 

 

서양의 해양 역사를 순서대로 서술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선사시대 타르수스의 배는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제국 초기의 시대를 말한다.

그다음은 아드리아해로 옮기게 된다. 암흑시대에 상업이 쇠퇴하며 지중해 도시국가가 발전하게 되고 베네치아 등 이탈리

아가 동방의 무역을 독점하게 된다.

그다음은 북유럽 초창기 해운업으로 북방항로 즉 양모 무역과 어업이 중요시되고, 잉글랜드의 양모와 모직물이 수출되

기 시작한다.

그다음은 대양 항로의 개척으로 엔리케 왕자가 나와 최초로 대양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조선술과 항해술이 나오게 된다.


바스쿠 다가마와 콜럼버스는 신대륙을 발견하고 포르투갈이 동양 무역을 독점하게 된다. 

그 후에 잉글랜드는 르네상스와 대양 발견 사업의 영향을 받아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하여 무역을 독점하게 된다. 

그 후 네덜란드는 해상 패권을 영국에서 가져오게 되고,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은 유럽의 무역 중심지로 떠오르게 된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향료 제도에서 잉글랜드인을 축출하고 각종 금융업, 주식의 초기 모습이 나오기 시작한다.

 

 



다음은 배 식민지 통상의 시대로서 각국의 치열한 신대륙 쟁탈전이 생기는 시기로서 산업발전과 생산품 및 자본의 축적으

 

로 식민지가 중요하게 되는 시기이다. 

 


그 후 서양 무역은 서인도 무역선과 노예무역 등 북아메리카에 치중되었다가 수에즈 운하의 영국에 주도권일 빼앗기게 된

 

다.

 



그중에 가장 흥미로운 시기인 대항해시대에 관해 기술해보려고 한다.



15세기 말과 16세기 초에 세계 운 송무 역사상 최대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대양항로가 개척되었다. 

 

그런데 당시 가장 선도적인 선주들이었던 이탈리아인과 한자 상인, 궁극적으로 이 새로운 발견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얻

 

은 잉글랜드인과 네덜란드인들이 그러한 대양 항로 개척에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은 역사의 흥밋거리 가운

 

데 하나다. 

 

 

 

 

 

 

세계 해상무역의 주된 흐름을 대대적으로 바꾸어 놓은 대탐험은 그 이전은 말할 것도 없고 그 이후에도 상업 국가나 해

 

상 민족으로서 단 한 번도 선두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던 나라의 통치자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대탐험을 선도한 사람은 고

 

지식하고, 실질적인 베네치아나 뤼벡의 상인들로부터 이론가이자 몽상가라고 경멸당했던 학구적인 젊은 왕자였다. 

 


엔리케 왕자가 그 주인공이다. 군인으로서 화려한 삶에서 벗어나 세인트 빈센트 곶 근처의 사그레스에 은거하면서 원양항

 

해 문제를 숙고하기 시작한 것은 1418년이었다 그 후 그의 전 생애는 세 가지 야심을 성취하는 데 집중되었다. 

 

 

엔리케 왕자는 모든 기독교 국가들의 공적인 무어인을 공격하고 또한 아프리카 연안의 미지 땅에 거주하는 이교도들과 무

슬림에게 가톨릭을 전파하기를 원하였다. 

 

인도로 가는 바닷길을 찾을 수 있으며, 그 항로를 찾는 나라는 유럽 시장에서 비싼 가격으로 흘러 들어오는 동양산 사치

 

품 운송업자나 중개자로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던 베네치아와 제노바인들에서 상업적 패권을 빼앗아 올 것이라 생각하

 

였다.

엔리케 왕자는 사그레스에 조선소, 천문 관측소, 항해, 지도 제작 훈련소를 세웠다. 그리고 유능한 이탈리아 수로 안내인

 

을 초빙하여 항해가 겸 교사로 삼았다.

중세 시대 초기의 세숫대야 모양의 외대박이 둥근 배는 이미 복잡한 의장을 갖춘 조종 성능이 좋은 배에 자리를 내어주

 

고 있었다. 15세기 전에는 두 가지 형태의 배가 특별히 명성을 얻고 있었다. 

 

하나는 캐 랙 선이 다. 캐랙선은 일반적인 대형 상선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점차 적재 용량이 크고, 너비가 넓

 

고, 홀수가 깊은 배를 의미하게 되었다. 다른 하나는 카라 벨 선으로 스페인인들과 포르투갈인들이 대서양 연안 무역용으

 

로 개발한 선형이었다. 카라 벨 선은 캐랙선보다 더 작고 조종하기 쉽고 빨랐으며, 외 갑판 이 물건 현, 높고 뾰쪽한 선 미루

 

는 갖춘 배였다. 초창기 포르투갈의 카라 벨 선은 세로돛을 달았다. 

 

 

 

 

 

 

그 후 의장이 개량되면서 전형적인 카라 벨 선은 돛대를 3개 내지 4개를 설치하고, 그 가운데 앞 돛대에는 가로 돛을 달

 

고, 나머지 돛대에는 세로돛을 달았다. 카라 벨 선은 그렇게 큰 짐배는 아니었지만, 캐랙선보다는 훨씬 조종하기 편리했

 

다. 카라 벨 선은 또한 거친 대서양에서 항해하는 데도 캐랙선보다 더 적합했다, 엔리케 왕자는 카라 벨 선을 개발하고 개량

 

했다.



또한 인도까지 직항로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어 있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플이 오스만 튀르크 제국의 공격

 

을 받아 함락되었다. 오스만 튀르크 제국은 무역에 대해 이렇다 할 관심도 없었을 뿐 아니라. 

 

기독교인들을 무자비할 정도로 증오하였다. 

 

15세기 말에 시리아 항구를 경유하거나 노브고로드와 흑해의 항구를 경유하는 장거리 육로를 통해 공양으로 가는 우회로는 차단 되었고 이집트로 가는 길도 위협받고 있었다.



드디어 1498년 바스쿠 다가마는 유럽 배로서는 처음으로 인도 항구에 짐을 싣기 위해 갤리 컷에 도착하였다. 

 

배는 점점 커지고 의장도 개선되었다. 지리학과 항해술도 조선업의 진보와 보조를 맞추어 발전하였다. 

 

원칙으로 항해에 활용한 이후 점차 바다에서 널리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

 

게 되면서, 유럽에서 서쪽으로 가면 전설의 카타이 지팡구에 갈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 시기에 콜럼버스가 등장하였다.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 알려지지 않은 대륙을 발견하게 되었다. 신대륙에는 귀금속이 풍부하게 매장되어있었다. 

이렇게 하여 유럽 각국의 신대륙과 인도를 향한 경쟁적인 무역이 시작될 수 있었다. 

 

이는 유럽의 사업자본의 동양 진출이자, 서양이 동양에 비해 경제적, 과학적으로 앞서 나갈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해 둔 것이다.

 

 

 이 시기 중국은 자국 문화에 도취하여 현실에 안주했지만, 포르투갈, 에스파냐 등 유럽 국가들은 창의적인 생각과 혁신적

 

인 실행으로 꿈을 이루어갔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산당선언  (0) 2022.11.04
호모데우스를 생각하다.  (1) 2022.09.30
총, 균 쇠를 읽어본 생각들  (0) 2022.09.22
음악 역사  (0) 2022.09.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