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지진의 원인과 대책

by 피스-코스모스 2022. 9. 26.

땅이 흔들리고, 건물이 무너저 내리고 땅이 갈라지는 것을 지진이라고 합니다. 일본과 동남아시아 환태평양 조산대(일명 불의고리)에 위치한 나라들의 지진이 나날이 심해지고 요즘은 우리나라도 지진이 발생하여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이러한 지진의 원인은 무엇이고 우리는 어떠한 대책을 세워야 할까요?

 

 

 

 

 

지진이란?

지진이란 지구 내부의 힘에 의해 지층이 흔들리고, 땅이 갈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진앙(지진의 중앙)이 가가이 있을수록 흔들림이 쎄고, 진앙이 바다에서 시작된다면 쓰나미가 생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규모3이상의 지진이 2016년 34회, 2017년 19회, 2019년 14회등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진의 원인
충돌형구조

 

지진의 원인

지진의 원인은 지구 내부에 있는 판의 움직임때문입니다. 두개의 판의 경계를 단층이라고 하는데, 지구의 외핵과 내핵은 액체로 이루어져 있기에 유동성이 있고 하부맨틀이 움직일때 그 위쪽 상부맨틀과 지층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때문에 지진이 생기는 것입니다.

단층은 크게 역단층, 정단층, 주향이동단층이 있으며, 각각의 종류마다  층의 충돌하는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바르게 나타납니다.

 

지구내부구조
지구내부구조 와 지각구조

 

지진의 피해

대지진은 건축물의 파괴, 인명의 부상, 화재를 발생시킵니다. 전기, 수도, 가스, 도로, 철도, 다리, 공항등 각종 사회기반시설 을 파괴하여 사회혼란과 피해를 가속화합니다. 또 지진해일(쓰나미), 유해물질 노출로 피해를 증가시킵니다. 최대피해는 16세기 중군의 섬서성의 산시 대지진으로 83만명이 지진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6개시도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건물, 문화재 피해가 발생하고, 이재민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지진시 대책

최고의 대책은 대피이라고 합니다. 대피 방법을 알아볼까요?

  • 탁자 아래로 들어가서 몸을 보호합니다.
  • 전기 ,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해 놓습니다.
  • 엘리베이터는 중단의 위험이 있으므로 계단을 이용해 대피합니다. 
  • 건물, 담벼락은 낙하물의 위험이 있으므로 떨어져서 대피하도록 합니다.

 

지진에 대한 정리

자연재해 중 지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자연재해는 피할 수 없지만 평상시에 위험한 물건을 치운다 던지, 신속하게 대피하는 것으로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습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고층건물에 대한 건축물 허가시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각종 사회시설의 내진기준을 강화할수있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안전을 위해 낙하물이 없이 확트인곳 이나 집에 있다면 탁자 밑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라는 것을 다시 강조 드립니다.

 

 

오늘은 지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부탁드립니다.

 

2022.09.24 - [상식] - 태풍이란 무엇일까요?

2022.09.19 - [정보] - 화상의 종류 와 응급처치

2022.09.21 - [정보] - 경차 유류세 환급 카드

2022.10.02 - [정보] - 삼성 로봇 청소기 쓸만할까요?

2022.09.27 - [정보] - PS5 내 마음대로 하는 게임 추천

 

 

댓글